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어떤 게임 개발자의 블로그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어떤 게임 개발자의 블로그

검색하기 폼
  • 전체보기 (58)
    • Engine (15)
      • Unity3D (14)
      • Unreal4 (1)
    • Programming (22)
      • C/C++ (4)
      • 자료구조 & STL (3)
      • API (5)
      • Objective-C (4)
      • DirectX 3D (4)
      • FMOD (1)
    • Study (8)
      • 게임 기획 (1)
      • 프로그래밍 수학 (5)
      • 프로그래밍 기초공부 (2)
    • Media (4)
      • 내가 만든 프로그램 (4)
    • Play Game (0)
    • Diary (6)
    • Memo (1)
  • 방명록

Programming/C/C++ (4)
[C++] string

string 은? C++ 표준 라이브러리에는 string이라는 이름의 클래스가 정의되어 있다. 이 클래스의 사용을 위해서는 헤더파일 을 포함해야 한다. string 클래스는 std 네임스페이스에 포함되어 있다. 문자열의 처리를 목적으로 정의된 클래스이며, string은 템플릿 기반의 클래스이므로 핵심 코드들은 거의 대부분 헤더 파일에 작성되어 있으며 이 헤더를 열어 보면 소스를 직접 볼 수 있다. string의 사용법 기본적인 문자열 출력 방법이다.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string str = "문자열 출력"; cout

Programming/C/C++ 2013. 4. 5. 23:39
Template Class 만들 때 주의할 점

출처 : http://mycpp.blog.me/120147433633 template class를 인라인으로 만들관 상관 없지만 함수 밖에 뺀다면 template void Stack::함수이름() 형식을 맞춰 줘야 한다. 근데 여기서 주의할 점! template class는 헤더파일과 cpp파일을 분리해서 작성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는다. 만약 다음과 같이 한다면 ... === stack.h 파일 ==== template class Stack { protected: int top; T m_data[10]; public: Stack(); void push(T data); void print(); }; === stack.cpp 파일 ==== #include "stack.h" template Stack::Sta..

Programming/C/C++ 2013. 1. 28. 02:31
[C++] Friend 키워드

정보 은폐는 신뢰성을 높이지만, 사용을 불편하게 한다. 그래서 예외를 만들기 위해 friend 를 사용한다. 1. 프렌드 함수 void func(); class Some { friend void func(); .... }; void func() { // class Some의 모든 멤버를 사용할 수 있다. } 필요에 따라 클래스를 통째로 프렌드로 지정할 수 있다. 2. 프렌드 클래스 class Your; class My { friend class Your; .... }; class Your { // Class My의 모든 멤버를 사용할 수 있다. }; - 프렌드는 자신을 사용하도록 허락함을 뜻한다. - 프렌드 지정은 단방향이므로 A가 B를 프렌드 선언 하면 B는 A를 사용하지만, A는 그렇지 못한다. - ..

Programming/C/C++ 2012. 6. 10. 08:45
CallBack 함수

callback 함수는 아마 WinAPI 프로그래밍할 때 많이 보셨을겁니다. callback이란 무엇일까요? 해석해보면 "불러-다시" 뭐 이렇게 되나요...ㅋ 찾아보니 정의는 이렇군요. 호출될 함수를 알려 주어 다른 프로그램 또는 다른 모듈에서 함수를 호출하게 하는 방법. 일반적으로 운영 체계(OS)가 호출할 애플리케이션의 함수를 지정해 특정한 사건 또는 메시지가 발생했을 때 호출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이런 함수를 콜백 함수라고 한다. 그냥 함수 호출과 callback 함수 호출의 차이점은 "제어권"에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함수 호출은 조건 1이면 1번 함수를 불러서 처리, 2면 2번 함수 불러서 처리... 이런 식입니다. 즉, 우리가 어떤 처리가 필요할 때 함수에게 그 작업을 맡기는 것이죠. 그런데 ..

Programming/C/C++ 2012. 6. 10. 08:29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 Visual Studio에서 빌드가⋯
  • Rider 활성화된 소스 코드⋯
  • 개인용 텔레그램 봇 업데이트
  • Rider에서 버벅거리는 증⋯
최근에 달린 댓글
  • 저 내용만 봐서는 확실하게⋯
  • Running C:/Users/김인건/Des⋯
  • 2. 시스템 파일 검사 로 했더⋯
  • 레퍼런스 카운트에 대한 스마⋯
Total
187,441
Today
3
Yesterday
47
링크
  • 코드의 신
  • 자기개발을 멈추면 죽는다.
  • 온새미의 블로그
  • TARDIS's Programming Note
  • 만듀의 블로구~
TAG
  • Attribute
  • loop
  • 성능
  • 꿀팁
  • 개발환경
  • Inspector
  • Unity Memory leak
  • zip
  • unitypackage
  • 최적화
  • ECS
  • unity
  • 유니티
  • BurstCompiler
  • JobSystem
  • FOR문
  • unity3D
  • dots
  • while문
  • rider
  • UnityEditor
  • Rider편의기능
  • catalina
  • webinar
  • Unity Webinar
  • SerializeField
  • 유니티 메모리 누수
  • FormerlySerializedAs
  • 퍼포먼스
  • 유니티3D
more
«   2021/01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 2020/03 (3)
  • 2020/01 (1)
  • 2019/10 (1)
  • 2019/07 (3)
  • 2019/06 (2)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 DNS by DNSE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