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할때 오류 잡는 방법
디버깅을 진행한다. 디버깅할 때 함수에 제대로 값이 들어오는지부터 확인한다. (브레이크 포인트 F9) 함수 또는 조건문이 맞는지 확인한다. Ex) if문을 사용할 때 실수로 비교를 잘못 적지는 않았는지 확인 // Undead일 경우 데미지 2배 if(monsterType == eType.Undead) { ApplyDamage(Damage * 2); } // 조건을 잘못 사용한 경우 if(monsterType != eType.Undead) { ApplyDamage(Damage * 2); } 비교 연산이 있는지 확인한다. ( == ) 확인 대입으로 처리되었는지 // ==을 실수로 = 으로 대입해서 오류나는 경우 if(monsterType = eType.Undead) { ApplyDamage(Damage * ..
Study/프로그래밍 기초공부
2012. 6. 10. 08:38
공지사항
- Total
- 187,441
- Today
- 3
- Yesterday
- 47
TAG
- unitypackage
- SerializeField
- zip
- ECS
- catalina
- JobSystem
- 최적화
- 유니티3D
- 꿀팁
- 유니티
- dots
- Unity Webinar
- 유니티 메모리 누수
- Unity Memory leak
- Rider편의기능
- unity3D
- while문
- loop
- FormerlySerializedAs
- FOR문
- 성능
- rider
- 퍼포먼스
- webinar
- BurstCompiler
- UnityEditor
- Inspector
- 개발환경
- Attribute
- 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