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6

화면 고속캡쳐 참고 사이트 이전에 스크린샷 기능 만들때 참고했던 사이트 http://blog.naver.com/ilifestory/50018213529 http://www.devpia.com/MAEUL/Contents/Detail.aspx?BoardID=50&MAEULNO=20&no=863559&ref=863539 2012. 6. 10.
몇가지 함수에 대한 정리 ZeroMemory (배열주소,배열크기) 지정배열을 모두다 0으로 초기화시킨다. memset (배열주소,초기화할값,배열크기) 지정된배열을 지정된 값으로 모두 초기화시킨다. memcpy (복사할배열,복사받을배열,배열크기) 복사받을배열에 복사할배열의 값들을 복사한다. IntersectRect(rcin,rc1,rc2) rcin,rc1,rc2는 RECT형 rcin,rc1,rc2 rc1과 rc2의 겹치부분의 영역을 rcin에 리턴해 준다. 기본적인 형식은 if를 걸어서 전후좌우를 하는 것과 똑같다. PtInRect(rcin,pt) rcin은 RECT형,pt는 POINT형 POINT즉 점이 RECT형으로 들어갈떄 그 것을 판단해준다. PtInRect(rcin,pt) rcin은 RECT형,pt는 POINT형 POIN.. 2012. 6. 10.
라디안 (호도법에 의한 각도의 단위) 라디안은 각도를 길이의 개념으로 바꿔 편리해진다. 1°와 2를 동일한 수직선(number line)에 표시할 수 있을까요? 불가능하죠. 이유는 간단합니다. 1°≠1이므로 1°와 2의 크기를 직접 비교할 수 없기 때문이죠. 어느 쪽이 더 크고 작다고 말 할 수 없습니다. 만약 1°를 길이의 개념을 갖는 수로 변환한다면 사용하는데 편리해질 것입니다. 어떻게 각도를 길이의 개념으로 변환할 수 있을까요? 라디안을 만들어서 그 목적을 이루었죠. 라디안은 아래 왼쪽 그림과 같이 약속되어 있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동일한 원에서 반지름과 원호의 길이가 같을 때 중심각을 1라디안으로 정해 놓았습니다. 각도와 길이를 대응시켜 각도를 길이 크기의 개념으로 변환할 수 있게 만든 셈이죠. 위의 그림에서 원둘레를 직선상에 펼쳐.. 2012. 6. 10.
프로그래밍 할때 오류 잡는 방법 디버깅을 진행한다. 디버깅할 때 함수에 제대로 값이 들어오는지부터 확인한다. (브레이크 포인트 F9) 함수 또는 조건문이 맞는지 확인한다. Ex) if문을 사용할 때 실수로 비교를 잘못 적지는 않았는지 확인 // Undead일 경우 데미지 2배 if(monsterType == eType.Undead) { ApplyDamage(Damage * 2); } // 조건을 잘못 사용한 경우 if(monsterType != eType.Undead) { ApplyDamage(Damage * 2); } 비교 연산이 있는지 확인한다. ( == ) 확인 대입으로 처리되었는지 // ==을 실수로 = 으로 대입해서 오류나는 경우 if(monsterType = eType.Undead) { ApplyDamage(Damage * .. 2012. 6.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