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6 [2DToolKit] Visual Studio로 빌드할때 에러나는 현상 해결방법 Windows에서 Unity로 개발을 하는 사람들은 Monodevelop보다는 Visual Studio를 선호하는거 같다. (익숙하니깐?) 나도 Visual Studio가 편하다 그래서 사용하는데 어느날 프로젝트를 복사해서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했는데 비..빌드가 에러가난다.... 내가 원래 작업하던 컴퓨터로 그파일 그대로 가져와서 해보니 잘된다... (응?) 이건 도대체 무슨 원인인지 검색을 해보고 찾아보았지만 찾지못했다 ㅠㅠ... 그러다가 또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하다가 이상한점을 발견... 바로.... 이 부분인데.. 요기가 내 컴퓨터에는 Debug로 잡혀있는데 다른 컴퓨터는 Release로 되어있던것이다.. 요것만 바꿔주면 해결!!! 2013. 7. 5. [Unity] SpriteManager2 이미지 올리는 방법 1. plugin 설치 - Sprite Manager : Sprite 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콤포넌트인듯 하다. - 역시 플러그인은 각 프로젝트마다 설치해야 함 2. GameObject 에 Packed Sprite 추가 - GameObject 를 선택하고 Component -> Scripts -> Packed Sprite 하면 됨 3. Project 탭 (에셋)에 Material 추가 4. GameObject 에 추가한 Material 을 드래그해서 넣음 5. 이미지(jpg, png 등)를 에셋에 추가 6. Window -> Sprite Timeline 을 눌러 윈도우를 열고, 6에서 추가된 이미지를 등록함 7. Tools -> AB Software -> Build Atlases 를 눌러서 S.. 2013. 6. 5. Windows8 시스템 종료 및 다시 시작이 안되는 현상에 대한 해결법 컴퓨터를 처음 사고 윈도우를 설치하고 나서 분명히 제대로 시스템 종료 및 다시 시작이 되었는데 드라이버 및 유틸리티 등을 설치하고나서 재부팅을 했더니 화면은 먹통이고 본체만 켜져있는 경우가 생겼다. 처음엔 윈도우가 잘못설치됬다고 판단해서 재설치를 시도해서 해결이 된 줄 알고 또 한번 드라이버 및 유틸리티를 설치를 끝내고 재부팅을 했는데 똑같은 증상이 발견되었다. 시스템 종료를 하면 컴퓨터 모니터는 꺼졌는데 본체는 계속 돌아가는 현상을 겪는 분들이라면 이 글을 참고해서 해결되었으면 한다. 컴퓨터에 따라서 종료하고 난뒤에 본체 내부의 열을 더 빼내기위해서 10~15초 팬이 더 돌아가는 시스템도 있으니 참고하시고.. 위 문제의 해결 방법에대해서 검색을 해보다가 Microsoft에서 답변을 본 것이 있었는데 아.. 2013. 5. 3. [C++] string string 은? C++ 표준 라이브러리에는 string이라는 이름의 클래스가 정의되어 있다. 이 클래스의 사용을 위해서는 헤더파일 을 포함해야 한다. string 클래스는 std 네임스페이스에 포함되어 있다. 문자열의 처리를 목적으로 정의된 클래스이며, string은 템플릿 기반의 클래스이므로 핵심 코드들은 거의 대부분 헤더 파일에 작성되어 있으며 이 헤더를 열어 보면 소스를 직접 볼 수 있다. string의 사용법 기본적인 문자열 출력 방법이다.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string str = "문자열 출력"; cout 2013. 4. 5.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