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6 Rider 활성화된 소스 코드 따라가기 Rider창 좌측의 Explorer창을 열어보면 우측 상단의 톱니바퀴 모양의 아이콘이 있다. 그림은 아래와 같다. 해당 설정창을 눌러주면 아래와 같은 메뉴가 나오는데, 여기서 Always Select Opened File을 선택한다. Rider Explorer창을 열어둔 상태로 다른 코드파일을 왔다갔다하면 자동으로 선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2020. 3. 6. 개인용 텔레그램 봇 업데이트 집이 이사를 하면서 홈서버 컴퓨터의 IP가 변경되고, 그에 따라서 홈서버의 프로그램들도 재시작되게되었다. 텔레그램 봇을 한동안 사용하지 않다가 이번에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서 켜보았더니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았는데 오류를 내며 죽어버린다. ㅠㅠ!! 살짝 검색을 해보니 텔레그램 측에서 통신관련 업데이트가 있는것으로 보여져서 최신버전의 통신규격(?)으로 교체되는 것을 요구하는 것 같다. 기존에 .Net 4.5 기반으로 제작하다가 (C# 봇 서버였음) 이번에 .Net 4.6으로 변경하고, 오랫만에 건드리는김에 최신으로 업그레이드를 해보자! 하고 생각하면서 텔레그램 봇 클라이언트도 업데이트를 해버렸다. 텔레그램 봇 기존 10.x.x대 버전에서 15.x.x버전대로 올라오면서 Api들이 바뀌고.. 코드는 에러를 뿜어내.. 2020. 3. 3. Rider에서 버벅거리는 증상에 대한 나의 해결 방법 Jetbrains의 Rider를 사용하는데, 코드를 작성 중에 자꾸 버벅거려서 문제를 찾아보았습니다. 메모리나 다른 설정 등을 확인해보았지만 특별한 문제는 없었고, 우연히 코드 작성 후 저장을 했는데 Unity에서 코드 변경사항에 대한 Dll을 다시 빌드 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Unity엔진 우측 하단의 인디케이터 표시로 확인) 그래서 자동 갱신을 끄면 될 것 같아 보여서 시도해보았습니다. 결과적으로는 해결되었고, 아래는 그 설정 방법입니다. [File]->[Settings] (단축키 Ctrl+Alt+S) 로 들어가서 Unity Engine을 찾습니다. 아래 이미지에 체크되어있는 Automatically refresh assets in Unity의 체크를 해제합니다. 2020. 1. 9. [Mac] MacOS Catalina Unitypackage Zip 파일 해제가 이상할 때 최근에 사용하던 맥북을 Catalina로 업데이트를 했습니다. 인터넷에서 UnityPackage가 들어있는 압축파일(Zip)을 받아서 해제하는데 파일이 이상하게 해제됩니다. 이럴경우 Mac에서 검색을 통해서 [아카이브 유틸리티]로 들어갑니다. 아카이브 유틸리티의 환경설정에 들어갑니다. 중간에 "가능하다면 계속 압축 해제하기"를 체크 해제해줍니다. 이제 다시 Unitypackage가 압축되어있는 압축파일을 해제하면 정상적으로 해제가됩니다. 2019. 10. 19. 이전 1 ··· 3 4 5 6 7 8 9 ··· 19 다음 반응형